
[DB] DBMS Migration(DBeaver Export 방법)
2022. 8. 16. 15:32
Database
개요 현재 우리의 project는 운영 server(사용자가 이용하는 server)와 개발 server를 분리하여 사용하고 있다. DB도 이와 마찬가지로 운영 server용 DB와 개발 server용 DB로 처음부터 분리하여 운영하고 있다. 예상치 못한 예외, 실수로 인한 db 훼손 등의 risk 감소가 목적이다. 팀장님이 업무를 분배했다. 연차에 상관 없이 능력 출중한 팀원들에게 맞춰 갈 수 있도록 차등 없이 나에게도 역할을 할당해 주셨다. 각 팀원 별 역량을 높이기 위함이라고 사료된다! 총괄은 project leader가 하고, 다른 팀원은 개발 및 운영 server 이관과 이를 위한 master branch 관리가 할당되었고, 나에게는 개발 server에서 운영 server로 DBMS migrati..
[MySQL] oracle과 다르거나 까먹은 것 정리
2022. 6. 8. 16:16
Database/MySQL
용어 column == field row == recode 주석 # 한 줄 주석 -- 한 줄 주석(기호 뒤에 공백 한 칸 있어야 주석으로 정상 인식) /* 두 줄 이상 주석*/ AUTO_INCREMENT field의 값을 1부터 시작하여 새로운 recode가 추가될 때마다 1씩 증가된 값 저장. int형 datatype만 가능하고 중복 없는 값이라 대부분 PK로 이용함. PK가 아닐 경우 NULL 방지를 위해 NN 조건 추가 필요 해당 column에 값이 들어가 있거나, 이것으로 생성될 번호보다 높은 값이 있으면 오류 발생. 해당 키워드 다음에 대입 연산자를 사용하여 시작 값 변경 가능. Table 남기고 Data만 지우고 싶을 때 TRUNCATE TABLE 테이블이름 IF EXISTS절 이후 나오는 것..

[Oracle] Diagram
2022. 4. 11. 00:43
Database/Oracle
보기 > Data modeler > Browser 관계형 모델 > 우클릭 > 새 관계형 모델
[DB] 용어 및 기본 키
2022. 1. 30. 12:06
Database/Oracle
● table: 행과 열로 이루어진 data의 집합 관계형 db에서는 모든 값이 유일한 값을 갖고 중복 행이 없는 등 제약 조건 성립하면 relation이라고 함 모든 relation은 table이지만 역으로 모든 table이 relation이지는 않다. 1) 제약 조건 한 relation에서 tuple은 모두 다르고 순서 무관 relation schema를 구성하는 attribute의 값은 동일해도 됨 tuple을 식별하는 속성들의 부분 집합을 키(key)로 설정 ● row(행): 가로로 묶은 dataset. 한 객체에 대한 정보를 가짐. 관계형 db에서는 tuple / record라고 불림 ● column(열): 세로로 묶은 dataset. table의 속성. 열을 구성하는 값들은 같은 domain으..